잡다한지식 / / 2023. 1. 30. 18:50

2023년 서울/대구 정월대보름 행사

 

 

정월대보름 서울 행사

2023년 기준 2월 5일(음력 1월 15일) 일요일은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무탈함을 기리는 날로써, 해가 바뀌고 처음 보름달이 뜨는 날로 정해졌다. 정월과 관련된 세시 풍속은 셀수 없이 많다. 여기서 세시풍속이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시기에 반복되어 전해오는 주기전승의례라고 한다.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불린다. 정월대보름이 다가오면 대보름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들이 열린다. 서울시는 4년만에 대대적으로 정월대보름 행사를 개최한다. 아래의 행사들은 서울시와 대구에서 열리는 행사들은 아래와 같다.

정월대보름정월대보름

 

지역 일시 위치 행사
서울시 서초구 2023.02.04(토요일) 16:00 양재천 영동 1교 아래 달집 태우기
서울시 양천구 2023.02.04(토요일) 17:00~ 신정교 아래 안양천 야구장 대보름 행사
서울시 도봉구 2023.02.03(금요일) 18:00~ 중랑천 대보름 행사
대구 북구 2023.02.05(일요일) 15시~ 금호강 산격대교 산격야영장 외줄타기, 풍물공연, 축하공연
대구 달성군 2023.02.05(일요일) 16:00 ~19:00 달성군민운동장 기원제,민속놀이체험, 축하공연, 달집태우기
대구 수성구 2023.02.05(일요일) 14:00 ~18:30 대구 스타디움 서편광장 민속한마당

또한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은 저마다 의미가 있다.

1. 오곡밥

새해의 모든 곡식이 잘 크기를 바라며 서로 나눠먹으며 한해의 운수를 좋아지게 만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2. 부럼

단단하고 영양 많은 견과류를 나이가 많으신 어르신부터 깨물어 먹으며 '부스럼이요' 라고 외치며 먹는 것으로 먹을 때 견과류의 껍데기가 깨지는 소리가 귀신이 실어하는 소리라고 한다. 그래서 잡귀가 붙지 않으며 이빨이 튼튼해지고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는 것을 염원하는 의미이다.

3. 나물

정월대보름에 나물을 먹으면 한 여름에 더위를 많이 타지 않는다 라는 속설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물을 먹으면서 그 해의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기를 염원하는 의미이다.

4. 귀밝이술

이명주라고도 불리우며 정신을 맑게 하고 좋은 소리만 듣을 수 있게 염원하는 의미이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